◇ 금요일 근무 1시간 단축 법안 의회 제출
소련 시절 '노동자의 천국'이었던 러시아가 주 4일제 근무에 앞서 주말과 공휴일 전날 근무 시간을 단축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20개월을 훌쩍 넘긴 우크라이나 전쟁 와중에, '전시 경제'에 하등 도움이 되지 않을 것 같은 '근무 시간 단축'이 논의된다는 것 자체가 경이로울 지경이다.
온라인 매체 rbc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아이라트 기바트디노프(Айрат Гибатдинов) 상원 의원 주도의 노동법 개정안이 9일 국가두마(하원)에 제출됐다. (주말 전날인) 금요일과 공휴일 전날 근무 시간을 1시간 줄이도록 하는 법안이다. 주 근무시간을 최대 40시간에서 39시간(우리나라는 주 평균 52시간 근무제)으로 줄이자는 것이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 대변인은 지난 3월 이 문제에 대해 "금요일 근무시간 단축 문제는 아직 정부에서 논의하지 않고 있다"며 의회에게 결정권을 미뤘다. 그러면서 "만약 채택된다고 하더라도, 크렘린과 정부는 그러한 혜택을 누릴 수 있을까 싶다"고 회의적인 반응을 보인 바 있다.
◇ 파격적인 러시아 저출산 대책?
자녀가 많은 가정에 아파트를 최우선적으로 제공하고, 주택 소유자에게는 '모기지' 납입금을 탕감해주는 획기적인 저출산방안이 발렌티나 마트비옌코 러시아 상원 의장에 의해 제안됐다.
MKru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마트비옌코 의장은 10일 셋째 아이가 태어나면 국가는 그 가정에 아파트를 제공하거나, 기존 모기지의 부채를 탕감하자고 주장했다. 러시아의 인구 감소를 막기 위한 저출산 대책의 하나다. 그녀는 “국가는 자녀가 많은 가정에 최우선적으로 아파트를 제공해야 한다"며 "부유한 사람들에게는 일부 제한이 있을 수 있지만, 원칙적으로는 다자녀 가정에게는 아이를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소련 시절에도 대가족에게는 아파트를 최우선적으로 할당했다. 셋째 자녀가 태어나면, 주택 공급 특별 대기 목록에 올라가 1년 이내에 아파트를 배정받았다고 한다. 자녀가 있는 가정에 주택을 제공하는 것은 출산율을 촉진하는 강력한 도구라는 게 그때나 지금이나 같다는 뜻이다.
앞서 러시아는 2000년대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둘째가 태어나면 '모성 자본'(материнский капитал, 즉 엄마 수당)을 제공하기 시작했고, 2018년부터 아이가 있는 모든 가정으로 확대됐다.
◇ 모스크바 버스전용 차선 확대
모스크바에도 버스전용차로 제도가 시행중이다. 모스크바시는 지난 4일 버스전용차로 5개 구간을 새로 개통했다고 밝혔다.


모스크바 지역 매체 베체르나야 모스크바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막심 릭수토프 모스크바 교통 담당 부시장은 이날 "5개 구간에 새로 버스 전용차선이 개통됐다"며 "버스와 전기버스가 전용 차선을 이용하면 운행 속도가 2~3배 더 빨라지고, 사고율도 20~30% 감소한다"고 밝혔다. 그는 "17개 (버스) 노선이 새 '버스 전용 차로'를 운행하면서 하루 11만명 이상의 승객을 실어나른다"고 말했다. 또한 모스크바 외곽 지역을 운행하는 혁신적인 전기 버스가 1,250대 이상이라고 덧붙였다.